![]() ▲ 기자회견 © |
시민사회단체들이 오는 9일 총파업을 예정한 서울지하철 투쟁을 지지하고 나섰다.
민영화저지 공공성확대 시민사회 공동행동은 8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시민안전을 위협하는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의 인력감축과 쪼개기 민영화를 반대한다”라고 밝힌 후, 서울교통공사노동자들의 총파업을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이들 단체는 “모두의 공공성, 모두의 안전이 위협받는 이때, 공공부문 노동자들이 다시 파업에 나섰다”며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인력축소, 공공철도를 쪼개 민영화하려는 국회에 맞선 지하철·철도 노동자들의 투쟁은 너무도 정당하다”고 주장했다.
양한웅 민영화저지 공공성확대 시민사회 공동행동 공동집행위원장의 사회로 발언을 한 박석운 전국민중연대 공동대표는 “서울지하철을 운행하는 서울메트로에서 추진하는 인력감축 방안을 보면 안전성과 공공성을 도리어 약화시키는 방향이고, 개혁에 역행하는 정책방향”이라며 “서울시는 이러한 미친 외주화와 미친 인력감축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이어 송근호 서울교통공사노조 수석부위원장은 “인력감축으로는 시민과 안전을 지켜낼 수 없다”며 “지하철 안전과 시민 서비스 영속을 위해 총파업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식 전국철도노조 수석부위원장은 “공공성을 돈으로 보고 이동의 책임을 시민들에게 돌리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며 “인력을 감축하고, 시설을 쪼개어서 민영화를 시키는 것은,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꼬집었다.
이나래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상임활동가는 “공공교통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의 열쇠는 충분한 인력을 통한 노동강도 낮추기와 안전 인력 배치”라며 “이미 여러 번의 사고를 통해 만성적 인력 부족이 노동자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며, 이는 시민의 안전에도 직결된다는 것을 모두가 목격했다”고 지적했다.
이은선 사단법인 희망씨 상임이사는 “지하철과 철도 노동자의 투쟁은 아동들이 일하게 될 안전한 일터를 만든는 일이고, 아동들의 일이 가치있게 느껴지는 노동현장을 만드는 일이며, 아동의 안전할 권리, 이동할 권리를 지켜내는 일”이라며 “지하철과 철도 노동자의 투쟁에 희망씨도 함께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정희성 진보당 공동대표, 조귀제 정의당 노동위원장, 김유리 녹색당 서울시당 공동운영위원장 등이 기자회견문을 낭독했다.
기자회견문을 통해 “스크린도어 수리작업을 홀로 수행하다 숨진 구의역 김군, 역사 순찰에 홀로 나섰다가 죽어간 신당역 여성노동자, 안전인력을 제때 충분히 투입하지 않아 끝내 막지 못한 이태원 참사에 이르기까지, 국가는 어디에도 없었다”며 “공공교통에서조차 이윤 극대화, 비용 절감 논리가 버젓이 활개를 치고 있고, 그럴수록 노동자와 시민의 생명‧안전은 뒷전에 밀려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공공교통에서 적정한 인력이 뒷받침될 때 모두의 안전도 지킬 수 있다는 점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며 “그러나 사고 예방의 기본 원칙이어야 할 ‘2인1조’는 어느 순간 불필요한 비용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 때문에 안전보다는 효율을 중시하는 기풍이 공공부문에서 독버섯처럼 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